본문 바로가기
과학(Science)

미항공우주국(NASA) : 심오한 우주를 연구하는 위대한 기관

by BO는날 2023. 8. 3.

오늘은 미항공우주국 NASA에 대해 알아보려 합니다. 미항공우주국은 미국의 우주 탐사 기관으로, 우주 연구와 탐사를 통해 우리의 지식을 확장하고 우주를 더 잘 이해하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는 NASA의 역사, 주요 프로그램, 현재의 미션, 그리고 우주 탐사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플로리다 미항공우주국 NASA

1. 나사의 역사

NASA는 1958년 7월 29일에 설립되었으며, 이전에는 미국 국방부의 일부로 우주 연구와 탐사가 이루어졌지만, NASA의 설립으로 민간 기관으로서의 우주탐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NASA의 시설은 미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 존재합니다. 미항공우주국의 본부는 워싱턴 D.C.에 있으며, 국에 대한 전반적인 지도와 정치적 리더십을 발휘합니다. 

NASA의 현장 센터는 총 10개의 시설이 있으며, NASA의 업무를 주도 집행하고 있으며, 여러 시설들에게 지금까지 다양한 관측소 및 망원경을 사용하거나 지원해 왔습니다. 

 

2. 주요 시설들

  •   NASA 필드 센터

고다드 우주비행센터(GSFC)는 미국 최대의 과학자 및 기술자 공동 조직으로, 우주 공간에서의 관측을 통해 지구, 태양계, 그리고 우주에 대한 지식을 풍요롭게 하는 연구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무인 과학 우주선을 개발 및 운용하는 미국의 주요 연구소이기도 하며, 우주의 메커니즘에 대한 과학적 연구, 개발 및 운용, 그리고 관련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고다드 과학자들은 미션 개발 및 지원이 가능하고, 고다드 기술자들은 그 임무를 위하나 우주선을 설계하고 건조할 수 있습니다. 우주 비행을 추적하고 데이터를 수집하는 두 개의 네트워크와 근지구 네트워크를 운영하며 첨단 우주 및 지구과학 데이터 정보 시스템을 개발 및 유지 관리할 뿐만 아니라 미국 해양대기청을 위한 위성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 케네디 우주센터(KSC)

케네디 우주센터는 가장 잘 알려진 NASA 시설 중 하나로, 1968년 이래로 미국의 모든 유인 우주 비행을 위한 발사장 역할을 해왔습니다. 우주왕복선 폐지로 인해 잠시 중단되었다가 2020년부터 스페이스X에 임대되어 드래곤2 발사에 사용되고 있으며, 케네디 우주센터는 미국의 민간 우주 프로그램을 위한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에 인접한 3개의 발사대에서 무인 로켓 발사 시설을 관리 및 운영하고 있습니다. 

 

  • 제트추진연구소(JPL)

제트추진연구소는 미국 최초의 우주탐사선인 익스플로러 1호의 배경이 된 기관으로, 나중에 NASA의 일부가 된 최초의 기관인 육군 탄도미사일국과 함께 했습니다.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카운티의 샌가브리엘 밸리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캐나다 플린트리지와의 경계에 위치한 패서디나시에 본부를 두고 있습니다. 제트추진연구소는 인근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이 운영하고 있으며, JPL의 주요 역할은 로봇을 이용한 행성 탐사선 및 우주선 제작과 운영입니다. 이 외에도 지구 궤도 및 천문 임무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NASA의 딥 스페이스 네트워크 운영도 담당하고 있습니다.

 

  • 암스트롱 비행연구센터(AFRC)

암스트롱 비행연구센터(AFRC)는 에드워즈 공군기지 내에 위치한 NASA가 운영하는 항공 관련 연구센터입니다. 암스트롱 비행연구센터는 NASA의 항공 관련 연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장소이며, 세계에서 가장 진보된 항공기들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우주왕복선이 에드워즈 공군기지에 착륙할 경우, 우주왕복선을 케네디 우주센터까지 수송하며 돌려보내기 위해 설계된 보잉 747을 개조한 우주 왕복선 수송기(SCA)의 본거지이기도 합니다.

 

  • 랭글리 연구센터(LARC)

랭글리 연구센터는 버지니아 주 햄튼에 위치한 NASA의 가장 오래된 현장 센터입니다. 랭글리 연구센터는 일차적으로 항공공학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아폴로 달 착륙선 비행 시험도 이곳에서 진행되었고, 많은 유명 우주 임두들이 이곳에서 계획 및 설계되었습니다. 프로그램의 3분의 2는 항공공학에, 나머지는 우주 분야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랭글리 연구진은 40여 개의 풍동에서 항공기 및 우주 항공기의 안전성, 성능 및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존슨 우주 센터(JSC)

존슨 우주센터는 NASA의 유인 우주비행 훈련, 연구 및 비행관제를 위한 센터입니다. 택사스 주 휴스톤에 위치한 1,620 에이커(656ha)의 부지에 100개의 건물로 구성된 복합시설입니다. 여기에는 크리스토퍼 C. 크래프트 주니어 미션 컨트롤 센터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존슨 우주센터는 미국 우주 비행사단의 본거지이며, 미국 및 국제 협력 우주 기관 출신의 우주 비행사 훈련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미션 중 핵심적인 역할로 인해 일반적으로 '미션 컨트롤'이라고도 불리는 JSC는 NASA 설립 직후 미국의 유인 우주 비행 프로그램을 통합하기 위해 결성된 스페이스 태스크 그룹이 발전적으로 해체되어 설립되었습니다.

 

3. 주요 프로그램

  • 아폴로 계획

아폴로 계획은 인류 최초로 달에 인간을 착륙시키는 역사적인 프로젝트였습니다. 1969년 7월 20일, 닐 암스트롱이 달에 처음으로 발을 디뎠을 때, 이는 미항공우주국의 큰 성과로 기록되었습니다. 아폴로 계획은 총 6차례의 달 착륙 미션을 포함하였으며, 이후에도 달과 우주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국제 우주 정거장(ISS)

국제 우주 정거장은 다양한 국가들이 협력하여 운영하는 우주 연구실입니다. NASA는 ISS의 주요 파트너 중 하나이며, 우주 비행사들이 연구를 진행하고 지구 외 우주에서의 생활에 대해 연구하는 데에 사용됩니다. ISS는 지구의 중력에서 벗어난 환경에서의 실험과 인류의 우주여행을 준비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 현재의 미션

  •   화성 탐사

미항공우주국은 현재 화성 탐사를 위한 여러 미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화성은 지구에 가장 가까운 행성 중 하나로, 지구와 비슷한 특성을 가진 행성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미항공우주국은 화성의 지질학, 대기, 그리고 잠재적인 생명의 흔적을 찾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주에 대해 더 많이 이해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  달탐사

미항공우주국은 아폴로 계획 이후에도 달에 대한 탐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달의 자원과 지질학적 특징을 연구함으로써, 달이 어떻게 형성되었지 와 지구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달은 우주여행에 중요한 비용 절감과 자원 확보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달 탐사는 우주 개발의 중요한 부분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5. 우주 탐사의 향후 전망

우주 탐사는 인류에게 끊임없는 호기심과 발전의 가능성을 제시해주고 있습니다. 미항공우주국은 앞으로도 우주 탐사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며, 우주 연구에 새로운 도약을 열어줄 것으로 기대됩니다.